>

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사회 초년생, 월급은 애매하고 뭘 해야 할지는 막막하고…
    “일단 예적금 하고 있는데 이게 맞는 걸까?” 라고 고민 중이시라면, 이 글이 해답이 되어드릴 수 있을 거예요.

    이번 글에서는 저축과 투자의 기본 전략, 추천 예적금 3종, 그리고 ISA, 연금펀드까지 청년층을 위한 금융 설계를 총정리해 드립니다.





    ✅ 월급 관리 1단계 – 수입의 흐름을 먼저 잡자

    매달 받는 실수령 월급에서 **고정지출(주거비, 보험료, 통신비 등)**을 먼저 빼고, 남은 금액을 기준으로 **저축 50% / 투자 50%**를 추천합니다.

    예:

    • 월급 300만 원
    • 고정지출 70만 원
    • 남은 230만 원 → 저축 115만 원 / 투자 115만 원

    ※ 상황에 따라 **저축 40% / 투자 40% / 생활비 20%**도 가능. 본인 사정에 맞춰 유연하게 조절하세요.

    💰 저축 추천 1 – 청년 내일 저축계좌

    “10만 원 넣으면 정부가 최대 30만 원 더 넣어준다!”

    • 조건: 만 19세34세, 근로 중이며 월소득 50250만 원
    • 소득 기준: 가구 중위소득 100% 이하
    • 혜택: 3년 만기 기준, 내가 36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1,080만 원까지 더해줌
    • 신청 시기: 연 1회, 5월 한정 모집

    조건만 된다면 무조건 신청해야 할 국민계좌입니다.

    💸 저축 추천 2 – 청년 도약계좌

    “월 최대 70만 원, 고정금리 5% + 정부 기여금 + 이자 비과세 혜택까지!”

    • 가입 조건
      • 만 19세~34세
      • 연봉 7,500만 원 이하
      • 근로·사업소득자
      •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% 이하
    • 핵심 혜택
      • 정부 기여금(연봉 6천 이하 시 지급)
      • 5% 고정금리 + 시중금리 + 이자 비과세
      •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중도해지도 가능

    가입 조건이 된다면 5년이라는 기간이 결코 족쇄가 아닙니다.

    🔍 저축 추천 3 – 특판 예적금 + 청년 우대 상품

    조건이 안 되거나 고소득 직장인이라면,

    • 네이버 ‘예적금’ 검색 → 금리 순 정렬 → 조건 확인 후 가입
    • 청년 처음 적금, 삼성 세마근고 등 회사 제휴 은행 예적금 활용

    금리는 낮더라도 안정성 + 소소한 혜택 노리기 좋습니다.

    📈 투자 전략 – ISA (비과세 투자 계좌) 추천

    자산 5천 이하 초보 투자자라면 복잡하게 나누지 말고

    ISA 계좌 하나로 주식/ETF/예금까지 통합관리하세요.

    • 혜택: 연 400만 원 수익까지 비과세, 초과분은 세율 9.9%
    • 직접 투자보다 낮은 세금으로 수익률을 극대화
    • 가입 유형: 중개형 ISA(수수료 저렴 + 직접 운용 가능)

    ISA vs 직접 해외 투자

    항목ISA직접 투자
    비과세 한도 400만 원 250만 원
    초과 세율 9.9% 22%
    접근 방식 ETF 간접 투자 해외 주식 직접 투자
    복잡성 낮음 높음 (환전 등)
     

    🧾 +α 옵션 – 연금저축 & 청약저축

    🔸 연금저축

    • 연봉 4천만 원 이상이라면 월 10만 원부터 시작 추천
    • 세액공제로 연말정산 혜택 가능
    • 단, 55세 이후 인출 가능하므로 유동성 주의!

    🔸 주택청약

    • 전입된 지역에 거주 중이라면 월 10만 원 정도 청약 저축 시작
    • 청약 조건 채우기 용도 → 큰 금액 필요 없음

    🧭 총 정리 – 사회 초년생 자산 설계 로드맵

    구분전략
    월급 관리 고정지출 파악 → 남은 돈 50% 저축 / 50% 투자
    저축 ① 청년 내일 저축계좌 → ② 청년 도약계좌 → ③ 특판 예적금
    투자 ISA 중개형 계좌로 ETF 등 투자 (저위험부터 시작)
    기타 연금저축, 청약저축은 여유 있을 때 시작
    포인트 모든 판단은 “내 현재 소득/자산 수준” 기준으로
     






    반응형